[언리얼 엔진 24.11.26.] 리얼타임 라이팅으로 Burning Man을 밝힌 버섯 테마의 예술 작품
[언리얼 엔진 24.11.26.] 리얼타임 라이팅으로 Burning Man을 밝힌 버섯 테마의 예술 작품
Busan Headquarters : (48732) 10th floor, 244, Jungang-daero, Dong-gu, Busan (Choryang-dong, Heungkuk Life Insurance Busan office building)
Seoul IX Development Center : (04323) Room 812(Fast Five Seoul Station Branch), 366, Hangang-daero, Yongsan-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 1600-1663 | FAX : 051-977-0302 | MAIL : info@samwooim.com
미국 네바다주의 외딴 블랙 록(Black Rock) 사막에서 매년 열리는 버닝 맨(Burning Man)은 반문화의 전형을 보여주며 말 그대로 기존 사회에서 벗어나 새로운 상상의 세계로 들어갈 수 있는 몇 안 되는 행사 중 하나입니다.
모든 계층의 보헤미안과 자유로운 영혼들이 사막에서 모이는 이 축제의 핵심에는 항상 예술이 있었습니다.
이 행사에서는 주최 측에서 선정한 테마를 기반으로 실험적인 인터랙티브 조각품, 건물, 아트 카 등 대규모의 예술 설치물을 선보입니다.
올해의 테마는 'Curious and Curiouser'였으며, 이를 잘 표현한 예술 집단은 언더스토리(Understory)입니다.
(중략)
예술 설치물이면서 건축물이라고 할 수 있는 'Nebula Shroom Grove'는 루에다가 자라면서 자주 들었던 "외롭다는 것은 버섯이 되는 것과 같다"는 콜롬비아의 흔한 표현에서 영감을 받은 것입니다.
이 주제는 언더스토리 단체를 구성하는 세 명의 콜롬비아 여성에게 특히 공감을 불러일으킵니다. "저희 팀의 경우, 해외로 이사하고, 커밍아웃하고, 처음으로 엄마가 되는 것에서 외로움을 느꼈습니다. 외로움은 다양한 형태로 찾아오죠." 루에다가 말합니다.
언더스토리는 종종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외로움에 대처하고, 이 문제에 대해 사람들이 함께 모여 이야기할 수 있는 조각품을 만들고자 했습니다.땅 밑에서 깊이 연결되어 있는 외로운 존재인 버섯은 대화를 시작하기에 완벽하고 상징적인 대상이었습니다.
Kristina Chan 제공
(중략)
전통적으로 버닝 맨의 예술 설치 작품 대부분은 축제 마지막 날에 불타 없어집니다.하지만 언더스토리는 'Nebula Shroom Grove'에 대한 다른 계획이 있었으며 버닝 맨이 끝난 후 설치물의 두 번째 생애를 구상했습니다.
이들은 언리얼 엔진의 픽셀 스트리밍을 활용하여 잠재 투자자들에게 고퀄리티 시각화를 선보일 수 있었습니다. 픽셀 스트리밍은 간단한 웹 URL을 통해 프로젝트를 누구와도, 어디서든 공유할 수 있게 해줍니다.
루에다는 말합니다. "언리얼 엔진에 이미 모든 것이 갖춰져 있었습니다. 라이팅, 애트머스피어, 날씨 조건까지 말이죠. 픽셀 스트리밍으로 바로 넘어가 투자자들에게 이를 선보이는 일은 꽤 쉬웠습니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