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리얼 엔진 24.12.10.] 언리얼 엔진 통합 파이프라인으로 전례 없는 경험을 제공하는 버추얼 아이돌 PLAVE

언리얼 엔진 통합 파이프라인으로 전례 없는 경험을 제공하는 버추얼 아이돌 PLAVE


리얼타임 3D 콘텐츠 제작 기술이 날로 진화함에 따라 버추얼 아티스트, 유튜버 등 디지털 휴먼 시장도 함께 성장하고 있는 가운데, 대한민국에는 데뷔 1년여 만에 실제 아이돌 못지 않은 인기를 누리고 있는 버추얼 아이돌이 있습니다. 바로 플레이브(PLAVE)입니다.



플레이브(PLAVE)는 예준·노아·밤비·은호·하민 5인의 멤버들이 작사, 작곡, 그리고 안무까지 직접 제작하는 버추얼 보이 그룹으로서, 2023년 3월 12일 데뷔 이후 버추얼 아이돌 최초로 대한민국 대표 음악방송에서 1위를 차지하고, 최근에는 잠실실내체육관에서 양일간 오프라인 단독 라이브 콘서트를 개최하여 전석이 매진되며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습니다.

플레이브의 인기 비결에는 여러 요소가 있겠지만, 언리얼 엔진의 리얼타임 기술로 자연스러운 비주얼 퀄리티뿐만 아니라, 매주 라이브 방송을 통해 팬들과 소통하며 아티스트의 진면목을 전할 수 있던 점을 꼽을 수 있습니다. 시네마틱 영상, 라이브 방송, 그리고 오프라인 라이브 콘서트까지 어떻게 언리얼 엔진으로 통합 제작 파이프라인을 구축해 아티스트의 본질을 전달할 수 있었는지 알아봅니다.


(중략)



의상 및 헤어 시뮬레이션을 언리얼 엔진의 실시간 시뮬레이션으로 완전히 전환하면서, 이제는 애니메이션이 수정될 때마다 라이브 방송처럼 시뮬레이션되어 임포트 과정이 간소화되었습니다. 렌더링을 위해 라이브 시뮬레이션을 베이크해야 하는 경우에도, 언리얼 엔진의 테이크 레코더를 사용하면 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어 전체적인 작업 과정이 매우 효율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

또한 이펙트 제작에는 언리얼 엔진의 나이아가라 시스템을 전면 도입하여 룩뎁 아티스트들은 모든 최종 연출 요소를 실시간으로 확인하며 함께 작업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애니메이션, 시뮬레이션, 이펙트 등의 모든 최종 연출 요소가 엔진으로 통합되면서, 언리얼 엔진을 컴포지터로까지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그 결과, 'WAY 4 LUV'의 시네마틱 영상부터는 모델링, 애니메이션, 룩뎁 등 각 제작 요소가 통합된 최종 결과물을 언리얼 엔진에서 렌더링할 수 있게 되어 작업의 효율성과 퀄리티를 향상시킬 수 있었습니다.


(중략)


LED 그 이상의 무한한 상상력을 담게 해 준 언리얼 엔진

블래스트는 관객의 경험을 2차원의 LED 스크린 평면을 넘어 공연장 전체라는 3차원의 경험으로 확장시켜 플레이브 콘서트에서만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고민했습니다.

이러한 고민의 결과로 실존하는 아티스트의 콘서트에서는 불가능한 아이디어와 연출, 예를 들면 탑의 꼭대기처럼 다양한 공간을 이동하며 노래 부르기, 바이크를 탄 채로 무대로 등장하고 연출의 단절 없이 공연 시작하기, 등장이나 퇴장 시에 꽃잎을 흩뿌리면서 나타나고 사라지기 등 그야말로 버추얼 아이돌이기에 가능한 연출을 실현할 수 있었습니다. 이러한 시각적 효과에서 더 나아가 연기와 같은 실제 무대 장치들을 결합하여 일반적인 콘서트에서는 불가능한 특별한 연출을 시도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도 플레이브의 세계관에 등장하는 큐브로 가득찬 아스테룸이라는 공간에서 세계관 속 빌런과 벌인 박진감 넘치는 격투 액션 씬은 그야말로 버추얼이 아니었다면, 불가능한 무대였을 것입니다.



블래스트 이미지 제공


또한, 언리얼 엔진은 LED 스크린 너머의 공간에 원하는 환경을 효율적으로 제작하고 다양한 연출들을 자유롭게 시도할 수 있게 해 주었습니다.

물리적인 시공간의 제약 속에서 짧은 기간 내에 다수의 조직이 동시 협업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 충돌을 피하면서도 변경 사항들을 실시간으로 동기화할 수 있는 파이프라인은 매우 중요한데, 언리얼 엔진의 레벨 스트리밍과 서브 시퀀스 기능이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레벨 스트리밍 덕분에 레벨 디자인, 애니메이션, 룩뎁 작업을 분리하여 하나의 퍼시스턴트 레벨에 스트리밍하는 방식으로 각 팀의 작업 공간을 분리하면서도 동시에 협업이 가능했습니다. 또한, 룩뎁 레벨 시퀀스 안에 애니메이션 서브 시퀀스를 적용하여 애니메이터와 룩뎁 아티스트의 작업 시퀀스를 분리하면서도 서로의 변경 사항을 함께 업데이트할 수 있었습니다. 

또한 콘서트 현장의 분위기를 고조시키는 현란한 DMX 조명 연출도 언리얼 엔진의 뛰어난 DMX 연동 지원 덕분에 가능했습니다. 언리얼 엔진 공연 조명을 전문으로 다루는 메타로켓과 협업하여 언리얼 엔진 내에서 실제 콘서트 현장 조명을 시뮬레이션하면서 현실과 가상의 무대 조명을 완성하였습니다.



< 메타로켓과의 협업으로 완성된 공연장 무대조명 >
블래스트 이미지 제공


무엇보다 가장 큰 도움이 된 언리얼 엔진의 강점은 비주얼 퀄리티까지 보장된 리얼타임 렌더링입니다. 덕분에 콘서트 2~3일 전까지도 끊임없이 수정하며 퀄리티를 끌어올릴 수 있었고, 콘서트 직전의 리허설까지도 이슈를 확인하고 해결할 수 있었기 때문에, 촉박한 시간임에도 완성도 높은 콘서트를 제작할 수 있었습니다.




(48732) 10th floor, 244, Jungang-daero, Dong-gu, Busan (Choryang-dong, Heungkuk Life Insurance Busan office building)

TEL : 1600-1663 

FAX : 051-977-0302 

 MAIL : info@samwooim.com 

Busan Headquarters : (48732) 10th floor, 244, Jungang-daero, Dong-gu, Busan (Choryang-dong, Heungkuk Life Insurance Busan office building)
Seoul IX Development Center : (04323) Room 812(Fast Five Seoul Station Branch), 366, Hangang-daero, Yongsan-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 1600-1663  |  FAX : 051-977-0302  |   MAIL : info@samwooim.com